반응형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자원이 존재하는 위치만을 가리킵니다.
예와 같이 자원이 있는 곳의 경로 까지만 지정해 주는 것입니다.
예) https://developern.com/test
URN(Uniform Resource Name)은 프로토콜이나 포트 같은 정보를 제외한 리소스의 이름을 가리킵니다.
예와 같이 식별자를 포함한 순수한 이름만을 지정해 줍니다.
예) developern.com/test?id=123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URL이 가지고 있는 자원의 위치 만이 아니라 자원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포함합니다.
예와 같이 경로 뿐만 아니라 123이라는 id값을 포함하게 됩니다.
예) https://developern.com/test?id=123

반응형
    
    
    
  '雜同散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tistory ] 티스토리에 D2Coding 설정하는 방법 (2) | 2023.12.28 | 
|---|---|
| [ Office 365 ] 오디날 오류로 오피스 프로그램이 갑자기 실행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0) | 2023.11.22 | 
| [ 카카오톡 ] PC 버전 광고 차단 방법 알아보자 (0) | 2023.10.13 | 
| [ Java ] 윈도우에 JRE설치하는 방법 (0) | 2023.07.20 | 
| [ FreeCommander ] 테마를 다크모드로 바꾸기 (0) | 2023.01.19 | 
| [ FreeCommander ] UI를 한글로 변경하기 (0) | 2023.01.19 | 
| [ 카카오톡 ] 새로 앱을 설치할 때 대화내용 복원법.(feat. 톡서랍) (0) | 2020.09.26 | 
| [ 곰플레이어 ] 책갈피 사용법 (0) | 2020.04.2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