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isual Studio Code 설정 동기화 방법

 

[ 설정 백업방법 ]

1. VS Code에서 'Setting Sync' extension 설치.

2. GitHub에서 신규 token 발급.

   1) github.com 접속

   2) 우측 상단 icon 클릭 > settings > (좌측메뉴 하단) Developer setting > Personal access tokens

   3) Note에 별명 기입, gist 체크, Generate token 버튼 클릭

3. VS Code에 Gist ID 설정

   1) gist.github.com 접속 후 글 작성 → Create Secret gists

   2) 주소창에서 gist ID 확인 : https://gist.github.com/[ github ID ]/[ gist ID ]

   3) VS Code 에서

      - File > Preferences > Settings → extensions > code settings sync...

      - Sync: Auto Download 체크

      - Sync: Auto Upload 체크 

      - Sync: Gist 에 gist ID입력

4. Gist에 설정값 업로드 : shift+alt+U (다운로드 : shift+alt+D)

 

[ 설정 동기화 방법 ]

다른 PC에 VS Code를 설치한 후 백업해 놓은 설정을 동기화 하려면

1. VS Code에서 'Setting Sync' extension 설치.

2. gist ID 값 확인 :

   1) gist.github.com 접속 후 글 작성 → Create Secret gists

   2) 주소창에서 gist ID 확인 : https://gist.github.com/[ github ID ]/[ gist ID ]

3. VS Code에 Gist ID 설정

   1) File > Preferences > Settings → extensions > code settings sync...

   2) Sync: Auto Download 체크

   3) Sync: Auto Upload 체크 

   4) Sync: Gist 에 gist ID입력

4. VS Code 재실행 하면 설정값이 갱신되며, 이에 따라서 extension을 설치 한다.

*5. 만일 원하는데로 동기화가 되지 않는다면 Shift+Alt+D를 클릭하면, Setting Sync라는 페이지가 나온다.

1) 여기서, LOGIN WITH GITHUB를 클릭하고 github에 로그인한다.

2) 로그인이 정상적으로이루어 지면 vscode의 Setting Sync화면이 바뀌면서 gist id list가 나온다.

3)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한다.

 

Visual Studio Code의 설정값을 동기화하는 방법
Visual Studio Code의 설정값을 동기화하는 방법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DeveloperN

개발자 n의 개발 이야기(draft)

,
반응형

무료 글꼴 총정리

[코딩글꼴]

No.

Font Name

Company

License

 Remarks

 1

 D2 Coding

 네이버

OpenFontLicense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DeveloperN

개발자 n의 개발 이야기(draft)

,
반응형

cafe24에서는 더 이상 WebMysql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제는 호스팅 가입자가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해야만 한다.

다행이 cafe24에서는 그 대표적인 방법 3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다음은 cafe24에서 제공하는 FAQ 링크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DeveloperN

개발자 n의 개발 이야기(draft)

,
반응형

wordpress의 로그인 암호를 분실했을 때 초기화 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간편하게 초기화 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 DB에 접속합니다. (phpMyAdmin 등으로 접속)

2. wp_user에서 해당 ID의 메뉴 중 '수정'을 선택합니다.

3. user_pass 필드 값을 다음 값으로 변경합니다.

21232f297a57a5a743894a0e4a801fc3

이 값은 MD5 hash값으로 'admin'입니다.

위 값을 그대로 복사해 넣고 저장합니다.

4. 해당 워드프레스에 접속 후 프로필 수정에서 암호를 수정해 줍니다.

* 반드시 위의 admin hash값으로 변경할 필요는 없지만 반드시 MD5값이어야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DeveloperN

개발자 n의 개발 이야기(draft)

,